콘텐츠로 이동

iSQL 커맨드 라인 옵션

iSQL 커맨드 라인 옵션#

iSQL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Altibase 서버를 먼저 구동 시켜야 한다. 옵션은 대문자 또는 소문자 모두 사용할 수 있다.

isql
[-H]
[-S server_name]
[-PORT port_no]
[-U user_id] [-P password] [/NOLOG]
[-SYSDBA] [-KEEP_SYSDBA]
[-UNIXDOMAIN-FILEPATH filepath]
[-IPC-FILEPATH filepath]
[-SILENT]
[-F infile_name [param1 [param2]...]] [-O outfile_name] [-NLS_USE nls_name]
[-NLS_NCHAR_LITERAL_REPLACE 0|1]
[-prefer_ipv6] [-TIME_ZONE timezone]
[-ssl_ca CA_file_path | -ssl_capath CA_dir_path]
[-ssl_cert certificate_file_path]
[-ssl_key key_file_path]
[-ssl_verify]
[-ssl_cipher cipher_list]

-S server_name#

Altibase 서버가 구동되어 있는 컴퓨터 서버의 이름(또는 IP 주소)을 명시한다. 만약 ISQL_CONNECTION 환경 변수가 IPC 또는 UNIX로 설정되어 있을 때, 이 옵션에 원격 서버를 명시해서 접속을 시도하면, iSQL은 ISQL_CONNECTION의 설정을 무시하고 TCP로 원격 서버에 접속할 것이다. 이 때, ISQL_CONNECTION 설정이 무시되었다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. IPv4 주소 또는 IPv6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. IPv6 주소는 "["과 "]"로 에워싸여야 한다. 예를 들어, localhost 를 명시하고자 할 때, 가능한 값은 다음과 같다. localhost (호스트 이름), 127.0.0.1 (IPv4주소), [::1] (IPv6주소) IPv6 주소 표기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dministrator's Manual을 참고하기 바란다.

-PORT port_no#

TCP, IPC 또는 IPCDA로 접속할 때 해당 포트 번호를 명시한다. 단 유닉스 환경에서 IPC로 접속시 이 옵션은 명시하지않아야 한다. 만약 명시하면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 후, 서버에 접속한다. TCP로 접속하려면 먼저 클라이언트에서 환경 변수 'ISQL_CONNECTION=TCP'를 설정하고, 옵션에 PORT_NO를 입력한다.ISQL_CONNECTION 환경 변수의 값이 IPC가 아니고 -PORT 옵션을 생략한다면 ALTIBASE_PORT_NO와 PORT_NO 프로퍼티를차례로 참조하고, 모두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포트 번호 입력 프롬프트가 출력된다.

-U user_id#

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 ID를 명시한다.

-P password#

사용자 ID와 일치하는 암호를 명시한다.

/NOLOG#

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지 않고 iSQL을 실행한다.

-SYSDBA#

SYS 사용자가 관리자 모드로 iSQL 유틸리티를 사용하기 위해서 -SYSDBA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. 서버가 구동되어 있지 않다면, iSQL은 idle 인스턴스로 접속할 것이며, 그 상태에서 서버를 구동할 수 있다.

-KEEP_SYSDBA#

사용자가 -sysdba 옵션으로 관리자 모드 접속 시, 서버 구동 후에는 서비스 세션으로 재접속 된다. -keep_sydba 옵션은 서버 구동 후 서비스 세션으로 재접속하지 않고 관리자 모드를 유지하게 한다.

-UNIXDOMAIN-FILEPATH filepath#

유닉스 환경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유닉스 도메인 소켓으로 접속할 때 (ISQL_CONNECTION=UNIX), ALTIBASE_HOME이 서로 다르다면 유닉스 도메인의 소켓 경로가 다르게 되어 접속이 불가능하다. 이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같은 파일 (e.g. ALTIBASE_HOME/trc/cm-unix)을 사용하도록 하면, 유닉스 도메인 통신이 가능해진다.

-IPC-FILEPATH filepath#

유닉스 환경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IPC로 접속 (ISQL_CONNECTION=IPC)할 때, ALTIBASE_HOME이 서로 다르다면 유닉스 도메인의 소켓 경로가 다르게 되어 접속이 불가능하다. 이 때 ALTIBASE_HOME/trc/cm-ipc 파일을 이용하면, 유닉스 도메인 통신이 가능해져 공유 메모리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. 그러나 이 옵션은 환경변수 ALTIBASE_IPC_FILEPATH를 설정하였다면 생략해도 된다.

-IPCDA-FILEPATH filepath#

유닉스 환경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IPCDA로 접속 (ISQL_CONNECTION=IPCDA)할 때, ALTIBASE_HOME이 서로 다르다면 유닉스 도메인의 소켓 경로가 다르게 되어 접속이 불가능하다. 이 때 ALTIBASE_HOME/trc/cm-ipcda 파일을 이용하면, 유닉스 도메인 통신이 가능해져 공유 메모리의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. 그러나 이 옵션은 환경변수 IPCDA_FILEPATH를 설정하였다면 생략해도 된다.

-F infile_name [param1 [param2]...]#

iSQL 실행 후 바로 실행할 스크립트 파일을 명시한다.
파일 이름에 특수 문자 또는 공백이 포함된 경우 큰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.

예: -F \\" file name\\"

스크립트 파일의 치환 변수에 대입할 값을 파라미터로 지정할 수 있다. 치환 변수에 대한 설명은 'START 명령에 파라미터 전달'을 참조하기 바란다.

-O outfile_name#

iSQL 실행 후 실행한 명령들에 대한 결과들을 저장할 파일을 명시한다. 이 파일은 현재 디렉터리에 생성된다. 파일이 기존에 존재할 경우, 기존 내용 위에 겹쳐 쓴다.
파일 이름에 특수 문자 또는 공백이 포함된 경우 큰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.

예: -O \\" file name\\"

-H#

iSQL의 실행 방법을 보여준다.

-SILENT#

silent 모드를 켜는 옵션이다. silent 모드를 켜면 Copyright 등의 부가적인 설명들을 보여주지 않는다.

-NLS_USE#

데이터 검색 시,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문자 집합(Character Set)이다. iSQL을 실행하는 터미널의 encoding을 명시하여 준다. 생략 시 환경변수 ALTIBASE_NLS_USE, altibase.properties를차례로 참조하며,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기본 문자 집합 (US7ASCII)을 사용한다.

  • US7ASCII
  • KO16KSC5601
  • MS949
  • BIG5
  • GB231280
  • MS936
  • UTF8
  • SHIFTJIS
  • MS932

EUCJP-NLS_NCHAR_LITERAL_REPLACE#

  • 0 : "N" 문자가 있는지 검사하지 않고 쿼리 문 전체를 데이터베이스 문자 셋으로 변환한다.
  • 1 : "N" 문자가 붙어있는 NCHAR 리터럴은 데이터베이스 문자 셋으로 변환하지 않는다.

-prefer_ipv6#

-S 옵션으로 호스트 이름을 입력했을 때, 접속할 IP 주소의 버전을 결정하는 옵션이다.
이 옵션을 명시하면, 호스트 이름을 IPv6 주소로 바꾸어 접속한다.
이 옵션을 명시하지 않으면, iSQL은 IPv4 주소로 접속한다.
선호하는 버전의 IP 주소로의 접속이 실패하면, 다른 IP 버전 주소로 접속을 다시 시도한다.
예를 들어, -S 옵션에 "localhost"를 입력하고 이 옵션을 명시하면, iSQL은 처음에 IPv6 주소인 [::1]로 접속하고, 이접속이 실패하면 IPv4 주소인 127.0.0.1로 접속을 다시 시도한다.

-TIME_ZONE timezone#

클라이언트의 타임 존을 설정하는 옵션이다. 이 옵션에 DB_TZ를 지정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동일한 타임 존이 사용된다. Asia/Seoul과 같은 타임 존의 이름이나 KST 같은 약어를 사용해서 지정할 수 있으며, +09:00 같은 UTC 오프셋 값을 지정할 수도 있다.
이 옵션을 생략하면 ALTIBASE_TIME_ZONE 환경 변수에 설정된 타임 존이 클라이언트의 타임 존으로 설정되며, 환경 변수도 설정되지 않았다면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동일한 타임 존으로 설정된다.

-ssl_ca CA_file_path#

접속할 알티베이스 서버의 공개키(public key)가 포함된 CA(인증 기관, Certification Authority) 인증서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다.

-ssl_capath CA_dir_path#

접속할 알티베이스 서버의 공개키가 포함된 CA 인증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지정한다.

-ssl_cert certificate_file_path#

클라이언트 인증서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다.

-ssl_key key_file_path#

클라이언트 개인키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다.

-ssl_verify#

이 옵션을 지정하면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서를 검증한다.

-ssl_cipher cipher_list#

SSL 암호화를 위해 사용할 알고리즘의 이름 후보들을 지정한다. General Reference에서 SSL_CIPHER_LIST 프로퍼티를 참고한다.

위의 커맨드 라인 중 -S, -U, -P 옵션이 빠져 있는 경우에는 입력 프롬프트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그 옵션 값을 받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