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umpdb
dumpdb#
개요#
dumpdb는 메모리 체크포인트 이미지 파일로부터 메모리 테이블스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메모리 테이블스페이스의 증분 백업 파일의 내용을 문자 형식으로 보여주는 유틸리티이다.
dumpdb {-j job_number } [-i pingpong_number] [-o] [-f file_name] [-s] [-p] [-d]
구문#
파라미터#
파라미터 | 설명 |
---|---|
-j job_number | 어떤 정보를 출력할 것인지를 지정한다. 지정 가능한 값과 각 값에 대해 추가로 지정할 수 있는 인자는 다음과 같다. 0: META (-s -f) 1: TABLESPACE (-s -f) 2: TABLESPACE-FLI (-s -d) 3: TABLESPACE-FREE-PAGE-LIST (-s) 4: TABLE (-o -d) 5: TABLE-ALLOC-PAGE-LIST (-o) 6: PAGE (-s -p -d) 7: INCREMENTAL_BACKUP_META (-f) |
-i pingpong_number | 체크포인트 이미지 파일의 핑퐁 번호이다. 생략하면 0이 사용된다. |
-o | 분석할 객체의 ID를 지정한다. |
-f file_name | 체크포인트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. |
-s | 분석할 테이블스페이스의 ID를 지정한다. |
-p | 분석할 페이지의 ID를 지정한다. |
-d | 정보를 상세히 출력한다. |
설명#
메모리 체크포인트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여 메타 헤더, 페이지 등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출력하거나 또는 메모리 테이블스페이스의 증분 백업 파일에서 백업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출력한다.
이 유틸리티는 디스크에 저장된 체크포인트 이미지 파일을 분석하기 때문에, Altibase 서버가 구동 중이 아니더라도 이 유틸리티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되어 있는 스키마를 확인할 수 있다.
하지만 DDL 직후 서버가 비정상 종료되어 갱신된 스키마가 디스크에 기록되지 못하면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.
사용 예#
쉘 프롬프트 상에서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.
$ dumpdb -j 1
$ dumpdb -j 1 -s 0
$ dumpdb -j 2
$ dumpdb -j 3
$ dumpdb -j 4
$ dumpdb -j 4 -d
$ dumpdb -j 4 -o 65536
$ dumpdb -j 5 -o 65536
$ dumpdb -j 6 -s 0 -p 4
<예제 1> 다음은 메모리 테이블스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. -s 인자를 추가하여 특정 테이블스페이스에 관한 정보만 출력할 수도 있다.
$ dumpdb -j 1
<예제 2> 다음은 메모리 테이블스페이스의 FreeListInfo(FLI)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. -s 인자를 추가하여 특정 테이블스페이스에 관한 정보만 출력할 수 있고, -d 인자를 추가해서 FLI 페이지의 유효하지 않은 부분도 출력할 수 있다.
$ dumpdb -j 2
<예제 3> 다음은 메모리 테이블스페이스의 FreePage들을 출력한다. -s 인자를 추가하여 특정 테이블스페이스에 관한 정보만 출력할 수도 있다.
$ dumpdb -j 3
<예제 4> 다음은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되어 있는 모든 객체 정보를 출력한다. -o 인자(아래 예제에서 SelfOID 항목)를 추가하여 특정 객체에 관한 정보만 상세히 출력할 수도 있다. -d 인자를 추가해서 객체의 칼럼 정보와 인덱스 정보 등도 출력할 수 있다.
$ dumpdb -j 4
<예제 5> 다음은 데이터베이스에 생성되어 있는 모든 객체의 정보를 칼럼 정보와 인덱스 정보 등과 함께 출력한다.
$ dumpdb -j 4 -d
<예제 6> 다음은 특정 테이블의 스키마와 데이터를 출력한다.
$ dumpdb -j 4 -o 65568
<예제 7> 다음은 특정 테이블이 사용하는 페이지 목록을 출력한다.
$ dumpdb -j 5 -o 65568
<예제 8> 다음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페이지를 출력한다.
$ dumpdb -j 6 -s 0 -p 4
<예제 9> 다음은 증분 백업 파일에 대해 dumpdb를 수행하여 백업 정보를 출력한다.
$ dumpdb -j 7 -f SYS_TBS_MEM_DATA-0-0_TAG_MONDAY.ibak
dumpdb: Release 6.3.1.0.0 - Production on Oct 31 2012 22:12:21
(c) Copyright 2001 ALTIBase Corporation. All rights reserved.
[BEGIN CHECKPOINT IMAGE HEADER]
Binary DB Version [ 6.2.1 ]
Redo LSN [ 1, 5867599 ]
Create LSN [0, 1385 ]
DataFileDescSlot ID [ 1, 1 ]
//백업파일에 저장된 incremental backup정보
[BEGIN BACKUPFILE INFORMATION]
Begin Backup Time [ 2012_11_06 23:18:43 ]
End Backup Time [ 2012_11_06 23:18:44 ]
IBChunk Count [ 0 ]
Backup Target [ DATABASE ]
Backup Level [ LEVEL0 ]
Backup Type [ FULL ]
TableSpace ID [ 1 ]
File ID [ 0 ]
Backup Tag Name [ MONDAY ]
Backup File Name [ /backup_dir/TAG_MONDAY/SYS_TBS_MEM_DATA-0-0_TAG_MONDAY.ibak ]
[END BACKUPFILE INFORMATION]
[END CHECKPOINT IMAGE HEADER]
Dump complete.
출력 항목#
다음의 표는 증분 백업 파일에 대해 dumpdb 유틸리티를 실행하여 출력되는 항목들에 한하여 설명한다.
필드 이름 | 설명 |
---|---|
Binary DB Version | 데이터 파일의 버전 |
Redo LSN | 미디어 복구를 위한 Redo LSN. 로그 앵커의 Redo LSN값이 데이터 파일의 Redo LSN보다 크면, 이 항목에 출력되는 Redo LSN 부터 미디어 복구가 필요하다. |
Create LSN | 체크포인트 이미지 생성 시점의 LSN |
DataFileDescSlot ID | 메모리 체크포인트 이미지와 묶여있는 ChangeTracking의 DataFileDescSlot ID |